안녕하세요!
<올바른 공부순서>
(1) 기초 교재 (첫 걸음이라는 타이틀이 붙어있는 교재)
(2) JLPT N5
(3) JLPT N4
(4) JLPT N3
(5) JLPT N2
(6) JLPT N1
이런 순서대로 공부를 하시면 되십니다 ^^
당연히,
" 시간을 진득하게 들이셔서 해야하는 공부 " 니깐,
기본적인 배경지식 (매체를 통해서 알고 있는 잡지식) 이 많으면 공부하시는데 있어 아는 단어라던가 표현들이 있으니까 유리한 건 사실입니다.
다만,
매체를 꼭 많이 듣는다고 시험을 스무스하게 공부할 수 있고 무조건 합격한다는 건 아닙니다.
단어를 알고,
표현 (대사) 을 안다고 해도,
그게 왜 그렇게 문법 변형이 되었고 뭐가 원형이며 왜 그런 문법을 쓰는지
" 정확 " 하게 하나하나 설명할 줄 아는 사람은 없으니깐요.
그러니까,
이런게 " 기본기 " 와 연결되어지니
이런 건,
기초 교재를 포함해 JLPT 교재에서 종합적으로 배우는 것이랍니다.
일반적으로,
노베이스 기준 N3까지는 " 1년 전후 " 를 잡고 (절대적 기준이 아님)
N2까지는 " 1년 반 전후 "
N1까지는 " 2~3년 " 을 잡습니다.
개인차가 심해가지고,
더 걸리실수도 있고, 덜 걸리실수도 있습니다.
아무래도,
자격증 공부라는게 기본기가 탄탄한 상태에서 탄력받아서 상위 급수로 가셔야 되시는데...
문제는,
이 기본기 잡는게 사람에 따라 걸리는 시간이 천차만별이라는 겁니다.
아무래도,
단순 " 합격 " 위주로 공부하면 대충대충해도 합격 최저 점수가 낮으니
합격점만 나오면 됌!
이러면서 공부하시는 분들은,
아무래도 " 깊이의 면 " 에서는 깊이가 깊진 않겠죠?
그렇기 때문에,
일반적인 공부법은 시중에 교재들이 워낙 좋은 것들이 널려있으니
독학하시는 경우는,
교재 추천을 받는게 아니라
본인이 공부할 교재를 직접 보고,
본인의 " 기준 " 에서 좋다고 생각되어지는거 고르셔서 공부하시면 됩니다.
어찌되었든,
책에 나와있는 걸 죄다 이해하고 숙지하신 상태에서 가신다면야 합격은 충분히 하실 수 있으니
나머진,
듣기 부분 관련해서 간혹 매체를 접하지 않으신 분들은 듣기를 어려워하니
이런 건,
단순 " 흥미 돋구기 " 용도로 일단 매체를 접하시는게 좋고,
매체로 절대 일본어 공부하려고 하진 마시길.
주위에 있는 사람들이,
" 비교적 " 자격증 취득이 " 무난 " 했다고 하면,
당연히 내 주위에 있는 사람들이 마치 " 전체 " 인 것 마냥,
아~ 일본어 자격증 취득이 생각보다 무난(?) 하구나
하고 느낄 수 있지만,
이건 단편에 불과하답니다.
합격과 연이 없어서 몇 번이곤 재시험 보시는 분들도 즐비하고,
상위 급수일수록 전체 합격율 (일본 국내 + 해외) 자체도 상당히 낮습니다.
낮은 급수도,
전체 응시자 비율 합격자는 30 ~ 40% 밖에 안 됩니다.
다만,
아무래도 " 한국인 " 이라는 점이 일본어 공부하는데 있어 많이 유리하게 작용하는 부분이 있으니 (이와는 반대로 불리하게 작용하는 부분 또한 많습니다)
어찌되었든,
잘 뽑은 교재들이 많으니까
결국,
(1) 이해
(2) 음미
(3) 숙지
(4) 반복 숙달
(5) 진득하게 시간 들여서 공부
의 요소들이 잘 뒷받침되어진다면
시험 합격은 충분히 가능하시답니다 ^^
감사합니다!